반응형
1. 용어
- 진동 : 물체의 전 후 운동
- 공명 : 발생한 진동에 맞추어 생체가 진동하는 성질(진동의 증폭)
- 멀미(Motion Sickness) : 진동에 의한 자극이 내이의 전정, 반고리관에 작용하여 자율신경계에 나타나는 병적반응
2. 진동에 의한 장애
- 전신진동(2~100Hz) : 안구 공진에 의한 시력 저하, 내장 공진에 의한 위장 영향, 순환기 장해 말초신경 수축, 혈압상승, 맥박증가, 산소소비량 증가, 발한 및 피부저항 증가, 폐환기 촉진
- 국소진동(8~1500Hz) : 진동이 심한 기기 작동 시 일시적 말초혈관 순환장애로 인한 마비, 통증, 창백 수반(백납병)
3. 전신진동 대책
1) 근로자와 발진원 사이의 진동대책
- 구조물 진동 최소화
- 발진원 격리
- 전파경로에 대한 수용자 위치 변경
- 수용자 격리
- 측면 전파 방지
2) 인체에 도달되는 진동장해의 최소화 대책
- 진동 폭로기간 최소화
- 작업중 적절한 휴식
- 작업장 관리 및 인간공학적 설계 적용
- 근로자에게 필요한 진동 훈련과 경험 제공
- 진동감수성 촉진시키는 유해물질 제거
- 의학적 관리
-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공학적 설계 및 관리 대책 필요
4. 국소진동 대책
- 진동공구의 진동 발생률 감소
- 진동공구 무게 10Kg 이상 사용금지
- 손에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한 장갑 착용
- 적절한 휴식
반응형
'인간공학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숫자 표시장치 (0) | 2022.06.11 |
---|---|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KOSHA GUIDE H-67-2012) (0) | 2021.04.19 |
소음 관련 개념공부1 (0) | 2021.04.07 |
리더쉽 / 헤드쉽 (0) | 2021.04.05 |
좌상(Strain) / 염좌(Sprain)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