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안전 파트 11

방폭 전기배선 공사방법

전기안전기술사 123회 1교시 4번 1. 방폭구조 선정기준 위험장소의 등급 위험장소에 체류하는 가스의 발화온도 및 전기기계기구의 최고표면온도 체류 가스의 최대안전틈새 및 최소점화전류비 방폭구조의 표준환경조건과 위험장소의 환경조건 분진의 도전성 여부 등 2. 방폭구조별 적용가능 장소 선전 방폭구조 0종 1종 2종 ia V V V ib V V d V V o V V p V V e V V m V V q V V n V 3. 방폭전기배선 공사방법 1) 가스방폭 지역 본질안전회로 배선공사 : 비 본질 회로로부터 정전, 전자유도를 받지 않도록 금속관에 넣어 차폐 실시 내압방폭 금속관 배선공사 : 관 접속 시 나사산 5산 이상 체결하고 화염전파방지를 위해 씽링이나 콤파운드 충진, 가요성부분 내압방폭형 플렉시블 사용, 관..

전기안전 파트 2021.05.03

전기사업법_전기의 품질기준 및 전압 주파수 측정

전기안전기술사 123회 1교시 3번 전기사업법 18조(전기의 품질유지) www.law.go.kr/lsLawLinkInfo.do?lsJoLnkSeq=1010339163&chrClsCd=010202&ancYnChk=0 조문정보 | 국가법령정보센터 제18조(전기품질의 유지) ① 전기사업자등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가 공급하는 전기의 품질을 유지하여야 한다. ② 전기사업자 및 한국전력거래 www.law.go.kr 1. 전기의 품질기준 : 전기사업자는 그가 공급하는 전기가 표준전압, 표준주파수 및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18조) 표준전압 허용오차 110V 상하 6V 220V 상하 13V 380V 상하 38V 표준주파수 허용오차 60Hz 상하 0.2Hz ..

전기안전 파트 2021.05.03

방폭구조의 선정기준

1. 방폭구조의 선정기준 위험장소 등급 위험장소에 체류하는 위험물질의 발화온도와 전기기계기구의 최고표면온도 최대안전틈새, 최소점화전류비 표준환경조건 분진의 도전성 여부 2. 위험물질 발화온도와 전기기계기구의 최고표면온도 기호 위험물질의 발화온도(초과) 전기기구의 최고표면온도(이하) T1 450도 초과 450도 이하 T2 300도 초과 300도 이하 T3 200도 초과 200도 이하 T4 135도 초과 135도 이하 T5 100도 초과 100도 이하 T6 85도 초과 85도 이하 T1 에서 T6로 갈수록 등급이 높아짐 (더 낮은 온도에서 가스가 발화하며, 최고표면 온도를 더 낮게 유지해야 함) 3. 최대안전틈새(내압방폭구조에 사용되는 개념) 1) 소염 : 화염이 소멸되는 현상(Quenching) 2) 최대..

전기안전 파트 2021.01.14

방폭구조 종류별 특성

1. 방폭의 개념 1) 폭발위험성 = 위험성 분위기의 생성 X 점화원 존재 2) 방폭 : 폭발위험성 제거를 위해 분위기 또는 점화원을 "0"으로 만드는 것 3) 전기방폭 : 점화원 존재 가능성을 "0"으로 만드는 것 4) 전기방폭의 원리 점화원 제거 점화원의 실질적 격리 : 내압 / 유입 / 압력 방폭구조 전기기기의 안전도 증가 : 안전증 방폭구조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 : 본질안전 방폭구조 2. 위험장소 분류 구분 특징 폭발성 분위기가 대표장소 0종 평상 시 폭발분위기 생성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용기, 장치, 배관 등의 내부 1종 평상 시 폭발분위기 생성우려 정상작동 중에 생성될 수 있는 맨홀, 벤트, 피트 등의 주위 2종 이상 시 폭발분위기 생성우려 정상작동 중에는 생성될 가능성 희박하고 이상 시 아..

전기안전 파트 2021.01.14

정전기 재해 및 대책

1. 전격 재해 대전된 인체에서 접지체로, 대전된 물체에서 인체로 방전 시 전류가 흘러 전격재해가 발생 쇼크에 의한 추락, 넘어짐 등의 2차 적인 재해에 의한 피해 발생 스트레스 및 불쾌감 2 화재 및 폭발 재해 정전기 방전이 착화원이 되어 가연성 물질이 연소되어 화재, 폭발 발생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조건 ① 가연성 물질이 폭발한계 이내일 것 ② 정전기의 방전에너지가 가연성물질의 최소 착화에너지 보다 클 것 ③ 방전하기에 충분한 전위로 대전되어 있을 것 3. 생산장해 정전기에 의해서 생산 물품의 품질저하, 생산성 저하, 기기의 오동작, 생산품의 오염등의 현상도 나타난다. 1) 역학현상 쿨롱의 법칙 전기력에 의해 대전물체 가까이에 있는 먼지, 종이, 섬유, 분체 등을 흡입, 반말 정전기의 흡인력, 반발..

전기안전 파트 2021.01.09

정전기 발생의 영향인자

1. 정전기란? 전하의 이동없이 절연체 위에서 정지해 있는 전기 1) 대전 : 마찰, 박리 등으로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 2) 방전 : 축적된 에너지를 외부로 방류하는 것 2. 정전기발생의 영향인자 구분 설명 대전서열 두 물질의 대전서열이 멀수록 정전기 발생량이 증가하고, 가까울수록 감소 (+) 유리-머리털-양모-고무(0)-카페트-사진필름-테프론(-) 불순물 함유량 불순물이 많을 수록 정전기 발생량 증가 표면상태 기름, 수분에 오염되면 산화 부식에 의해 정전기 발생량 증가 대전이력 처음 접촉, 분리가 일어날 때 제일 크고 발생횟수가 반복될 수록 감소 접촉면적 및 압력 접촉면적 및 압력이 클수록 정전기 발생량 증가 분리(박리) 속도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정전기 발생량 증가 생각1. 교재에 나와있는 내용 외에 ..

전기안전 파트 2021.01.08

전격(Electrical Shock)의 영향 요인

1. 전격이란?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였을때 발생하는 인지적, 물리적 현상으로 2차 재해를 포함 호흡 정지 및 심실세동을 비롯하여 2차적으로 추락이나 불안전한 행동으로 이어져 상해 발생 2. 전격의 원인 충전부 직접 접촉 고압선로의 절연파괴 감전 누전된 전기기기 외함에 접촉 콘덴서, 케이블 잔류전하에 의한 감전 보폭전압, 접촉전압에 의한 감전 송전선로 정전유도, 전자유도 전압 감전 회로 오조작, 발전기 기동, 낙뢰 등에 의한 감전 3. 감전사망 메커니즘 심장부 통전▶심실세동 발생 뇌의 호흡 중추신경 통전▶호흡기능 정지 흉부 통전▶흉부 수축 및 질식 2차 재해▶전격에 의한 추락, 장시간 전류 통전으로 인한 화상 등 4. 전격의 영향 요인 1차 요소 2차 요소 통전전류의 크기 인체의 조건 전원의 질 주변 환경..

전기안전 파트 2021.01.05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

관련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4조 1.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대지전압 150V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600V/750V) 전기기계, 기구 철판, 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2. 설치제외 사항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수준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기계, 기구 절연대 위 등과 같이 감전위험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비접지방식의 전로 3. 누전차단기 설치 시 준수사항 전기기계,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 30mA 이하이고 작동시간은 0.03초 ..

전기안전 파트 2021.01.04

정전작업절차(ISSA의 정전작업 5대 수칙)

정전작업절차는 국제사회안전협회(ISSA)의 5대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작업 전 전원차단 모든 작업원은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어 확인될 때까지 정해진 장소에서 대기한다. 2. 전원투입의 방지 모든 조작 개폐기에 시건장치를 하여 착오로 인한 전원투입을 방지 작업중, 조작금지 등의 표찰을 이용하여 전원투입을 방지 3. 작업장소의 무전압여부 확인 전원차단 후 선로에 작업자가 투입하기전에 검전기를 이용하여 무전압 여부를 확인 4. 단락접지 역가압 등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구간 양단에 단락접지 실시 5. 작업장소 보호 작업감시자 배치, 작업구간 구획로프 시설 등을 하여 작업장소 보호를 한다. 전기사용량의 증가로 전기설비 작업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안전대책 수립 및 안전활동이 매우 ..

전기안전 파트 2020.12.30

정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규칙 제 319조)

1. 전기작업자의 제한 감전위험이 있는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 해체, 정비,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자격, 면허, 경험 또는 기능을 갖춘 사람(유자격자)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정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1) 노출된 충전부 또는 그 근처에서 작업 시 감전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 전에 해당전로를 차단해야 하며 2) 차단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 사항은 ① 설비장치의 가동이 중단되면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 생명유지장치 비상경보설비, 비상조명설비 폭발 위험장소의 환기설비 ② 기기의 설계상, 작동상 제한으로 전로차단이 불가능한 경우 ③ 감전, 아크 등으로 인하여 화상, 화재, 폭발의 위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3. 정전작업계획의 수립 1) 작업지휘자 임명 2) 정전범위와 ..

전기안전 파트 2020.12.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