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노동관계법의 제정이 빠른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ㄱ.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1998년)
ㄴ.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2006년)
ㄷ.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2005년)
ㄹ.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1999년)
① ㄱ - ㄹ - ㄷ - ㄴ O 정답
② ㄴ - ㄱ - ㄷ - ㄹ
③ ㄷ - ㄴ - ㄹ - ㄱ
④ ㄹ - ㄱ - ㄴ - ㄷ
⑤ ㄹ - ㄷ - ㄱ - ㄴ
※ 고등학교 내신 시험문제도 아니고 이런 단순 암기 문제는 나오면 그냥 틀리는 것이 공부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다시는 이런 종류의 단순 암기 문제는 안 나왔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27. 헌법상 노동3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노동 3권은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 O (헌법 제37조 제2항)
② 단결권은 단결할 자유만을 가리키고, 단결하지 아니할 자유는 일반적 행동의 자유 또는 결사의 자유에 그 근거가 있다. O (헌법재판소 판례)
③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O (헌법 제33조 제2항)
④ 노동 3권은 사회적 보호 기능을 담당하는 자유권 또는 사회권적 성격을 띤 자유권이라고 말할 수 있다. O (헌법재판소 판례)
⑤ 모든 국민은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 단체교섭권 및 단체 행동권을 가진다. X 정답 (헌법 제33조 제1항) → 노동 3권은 모든 국민이 아닌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정당한 권리이다.
28.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령상 근로자와 사용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① 구직 중인 자도 노동3권을 보장할 필요성이 있는 한 근로자에 포함된다. O (대법원 판례)
②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 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를 말한다. O (노동조합법 제2조 1호)
③ 노동위원회의 부당노동행위 구제명령을 이행할 수 있는 법률적 또는 사실적인 권한이나 능력을 가지는 지위에 있더라도 직접고용관계에 있지 않는 한 사용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X 정답 (대법원 판례) → 권한이나 능력이 있는 한 그 한도 내에서 사용자에 해당한다고 한다.
④ 사용자는 근로자의 인사, 급여, 후생, 노무관리 등 근로조건 결정 또는 업무상 명령이나 지휘감독을 하는 등의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로부터 일정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은 자를 포함한다. O (대법원 판례)
⑤ 근로자에 해당하는지는 노무제공관계의 실질에 비추어 판단하여야 하고 반드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한정된다고 할 것은 아니다. O (대법원 판례)
29.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ㄱ. 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의 조정 및 부당노동행위의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O (노동조합법 제7조 제1항)
ㄴ. 노동조합의 규약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법인으로 할 수 있다. O (노동조합법 제6조)
ㄷ. 노동조합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O (노동조합법 제7조 제3항)
ㄹ. 노동조합에 대하여는 그 사업체를포함하여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조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X (노동조합법 제8조) → 사업체를 제외하고
① 0개
② 1개
③ 2개
④ 3개 O 정답
⑤ 4개
30.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령상 노동조합 규약의 의무적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① 단체협약에 관한 사항 X 정답
② 규율과 통제에 관한 사항 O (노동조합법 제11조 15호)
③ 규약변경에 관한 사항 O (노동조합법 제11조 10호)
④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O (노동조합법 제11조 3호)
⑤ 회의에 관한 사항 O (노동조합법 제11조 7호)
'공인노무사 1차 > 노동법 객관식 기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공인노무사 1차 노동법2 36번 ~ 40번 (0) | 2022.09.07 |
---|---|
2019 공인노무사 1차 노동법2 31번 ~ 35번 (3) | 2022.08.02 |
2019 공인노무사 1차 노동법 11~15 (0) | 2022.08.01 |
2019 공인노무사 1차 노동법 6~10 (1) | 2022.07.21 |
2019 공인노무사 1차 노동법 1~5 (1) | 2022.07.21 |